코딩테스트

하루 코테 3개 풀기 - 14일차

songsua 2024. 12. 23. 23:09

1. 같은 숫자는 싫어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06

 

프로그래머스

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

programmers.co.kr

def solution(arr):
    stack = []
    for num in arr:
        # 스택이 비어있거나, 스택의 마지막 값과 현재 값이 다르면 추가
        if not stack or stack[-1] != num:
            stack.append(num)
    return stack

 

 

2. 이진탐색

finding_target = 14
finding_numbers =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 11, 12, 13, 14, 15, 16]


def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(target, array):
    # 구현해보세요!
    return False


result =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(finding_target, finding_numbers)
print(result)

이진 탐색을 이용해서 풀어보자

 

finding_target = 14
finding_numbers =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 11, 12, 13, 14, 15, 16]


def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(target, array):
    current_min = 0
    current_max = len(array) - 1
    current_guess = (current_min + current_max) // 2

    while current_min <= current_max:
        if array[current_guess] == target:
            return True
        elif array[current_guess] < target:
            current_min = current_guess + 1
        else:
            current_max = current_guess - 1
        current_guess = (current_min + current_max) // 2

    return False


result = is_existing_target_number_binary(finding_target, finding_numbers)
print(result)

 

 

3. 재귀함수

재귀은 어떤한 것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참조하는 것을 말한다.

팩토리얼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72

 

def fact(n) :
    answer = 1

    for i in range(1 , n+1):
        answer *= i
    return answer

print(fact(5))
# 5 * 4 * 3 * 2 * 1 = 120
def fact(n) :
    if n == 1 :
        return 1
    return n * fact(n - 1)
# 5 * 4 * 3 * 2 * 1 = 120



print(fact(5))

 

 

4. 회문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609

문자열 반만 읽고 하나하나 맞춰보면 되지않얼까..

input = "abcba"

def is_palindrome(string):
    answer = []
    n = len(string) 
    for i in range(n) :
        if string[i] != string[n - i -1] :
            return False
        return True


print(is_palindrome(input))

문자길이랑 현재 i 번째 를 뺀 끝에 애들이랑 비교해서 안같으면 false 반환하도록 짠다

 

 

슬라이싱을 사용하여 짜본다

input = "abcba"

def is_palindrome(string):
    #맨 앞값과 맨 뒤에 값이 다르면 바로 false 반환하기
    if string[0] != string[-1] :
        return False
    #맨위의 값과 뒤의 값이 같으면 바로 맨 앞의 앞의값과 맨 뒤에 바로 앞의 값까지만 자른다
    #문자가 한 글자만 남을 경우에는 무조건 true 로 뽑는다.
    if len(string) = 1:
    	return True
    return is_palindrome(string[1:-1])

# string = "abcdef"
# string[1:]: 첫 번째 문자 이후부터 끝까지 (bcdef)
# string[:-1]: 처음부터 마지막 문자 바로 앞까지 (abcde)
# string[1:-1]: 첫 번째 문자 이후부터 마지막 문자 바로 앞까지 (bcde)

print(is_palindrome(input))